728x90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따라 근로자들의 안전과 보건을 위해 적절한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지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규칙에 따라 작업조건에 맞는 보호구를 지급하고 착용하도록 규정된 작업과 이에 해당하는 보호구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고층작업
고층에서 작업할 때는 추락방지장비를 착용해야 합니다. 추락방지장비에는 안전모, 안전벨트, 안전신발 등이 포함됩니다.
2. 전기작업
전기 작업을 수행할 때는 전기 안전용품을 착용해야 합니다. 전기 안전용품에는 전기안전모, 전기안전신발, 전기안전장갑, 전기안전안경 등이 포함됩니다.
3. 청소작업
청소 작업을 수행할 때는 방진 마스크, 안전화, 방수 작업복 등의 보호구를 착용해야 합니다.
4. 공사작업
공사 작업을 수행할 때는 안전모, 안전벨트, 안전신발, 안전안경, 안전장갑 등이 필요합니다.
5. 화학작업
화학 작업을 수행할 때는 안전화, 안전안경, 방호용 마스크, 방호용 작업복 등이 필요합니다.
6. 운송작업
운송 작업을 수행할 때는 안전모, 안전벨트, 안전신발, 안전조끼 등이 필요합니다.
위와 같이 규칙에 따라 각 작업에 맞는 보호구를 제공하고 근로자들이 착용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들의 안전과 보건을 지키며 작업 환경에서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전기안전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선용차단기의 동작특성 (0) | 2023.04.04 |
---|---|
GIS설비의 SF6 가스 분석 시험 방법과 기준(feat. 전기안전기술사) (0) | 2023.04.04 |
전력유도전압이란(feat. 전기안전기술사) (0) | 2023.04.03 |
초고압 가공송전선에 다도체를 사용하는 이유와 단점(feat. 전기안전기술사) (0) | 2023.03.30 |
등전위본딩용도체의 최소 단면적과 등전위 본딩의 목적(feat. 전기안전기술사)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