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전, 변전 설비는 전기를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중요한 시설입니다. 그러나 수전, 변전 설비에서는 단락 전류가 발생하여 설비에 손상을 입히고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단락전류의 억제가 필요합니다.
단락전류 억제의 필요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단락전류가 발생하는 원인을 알아야 합니다. 단락전류는 전기회로에 이상이 생겨 전기가 비정상적으로 흐르는 경우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전선이 마모되어 노출되거나, 절연물이 파괴되어 전선이 노출되는 경우, 단락전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락전류는 설비에 손상을 입히고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억제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억제 대책이 존재합니다. 이제는 몇 가지 구체적인 사례와 예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로는 저항을 사용한 억제 방법입니다. 저항은 전류가 흐르는 경로를 제한하여 단락전류를 억제합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쉽게 적용할 수 있지만, 저항의 크기를 적절하게 선택해야 하며, 설비의 효율을 저해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차단기를 사용한 억제 방법입니다. 차단기는 전류가 비정상적으로 흐를 때 회로를 차단하여 단락전류를 억제합니다. 이 방법은 전기 설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세 번째로는 절연을 강화하는 방법입니다. 전선의 마모나 파손을 예방하고 전선 주위에 절연체를 두어 전기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락전류를 억제합니다. 이 방법은 전기 회로 설계와 제작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설비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지락탐지기를 사용한 억제 방법입니다. 지락탐지기는 단락전류가 발생했을 때 이를 탐지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경고를 울려 단락전류를 억제합니다. 이 방법은 단락전류 발생 시간을 빠르게 감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설비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처럼 수전, 변전 설비에서는 다양한 단락전류 억제 대책이 존재합니다. 이 중에서도 절연 강화와 지락탐지기를 사용한 방법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이러한 억제 대책은 설비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인명피해를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억제 대책만으로 완벽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도 필요합니다.
따라서, 수전, 변전 설비에서는 단락전류 억제를 위한 다양한 대책을 적극 활용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전기안전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유공장의 위험물 저장소의 피뢰설비에서 회전구체법을 결정하는 요인과 방법 (feat. 전기안전기술사) (0) | 2023.04.17 |
---|---|
건설현장의 가공선로, 임시배선, 이동식 전기설비의 안전대책(feat. 전기안전기술사) (0) | 2023.04.16 |
낙뢰 이상전압이 미치를 영향 및 보호대책(feat. 전기안전기술사) (0) | 2023.04.12 |
폭발 위험장소 설정시 주요변수(feat. 전기안전기술사) (0) | 2023.04.11 |
과부하보호 및 단락보호(feat. 전기안전기술사) (0) | 202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