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기술사

위험성평가 단계별 절차(feat. 전기안전기술사)

Louis CHOI 2023. 3. 28. 15:28
728x90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르면, 위험성평가는 산업활동에 따른 위험을 식별하고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야 한다.

대상 식별: 위험성평가 대상을 선정한다. 이 단계에서는 산업활동에 따른 위험성이 있는 시설, 장비, 공정, 제품 등을 선정한다.

위험성 식별: 위험성을 식별한다. 이 단계에서는 대상의 위험성을 식별하고, 어떤 위험이 있는지 파악한다. 이를 위해 현장 조사, 설계도 분석, 관련 법령 및 기술 규격 분석 등을 수행한다.

위험성 분석: 위험성을 분석한다. 이 단계에서는 위험성의 심각성, 발생 가능성, 영향 범위 등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위험성 분석 기법 중 하나인 HAZOP, FTA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위험성 평가: 위험성을 평가한다. 이 단계에서는 분석된 위험성에 대해 평가를 수행하고, 위험성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 결정한다. 이를 위해 위험도 등급을 산출하고, 위험성을 개선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한다.

대책 수립: 위험성 개선을 위한 대책을 수립한다. 이 단계에서는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대책 시행: 대책을 시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대책을 시행하고, 효과를 검토한다. 만약 효과가 없다면 대책을 보완하거나 새로운 대책을 수립한다.

위험성관리: 위험성을 관리한다. 이 단계에서는 대책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며, 필요한 경우 대책을 수정한다.

위험성평가는 산업활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미리하고 대처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이를 통해 위험성을 미리 예방하고, 대응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사고나 재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산업체의 안전성 향상과 규제 준수를 위해 필수적인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도 이를 강제하고 있다. 따라서, 산업체에서는 위험성평가를 철저히 수행하여 안전한 산업환경을 조성하고, 규제 준수를 위한 최소한의 요건으로 인식하고 이행해야 한다.